반응형

전체 글 738

Buildroot에서 네트워크 패키지 추가 및 설정

Buildroot에서 네트워크 패키지 추가 및 설정Buildroot는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위한 루트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패키지를 추가하고 설정을 구성해야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Buildroot에서 네트워크 관련 패키지를 추가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Buildroot 네트워크 패키지 개요Buildroot는 다양한 네트워크 패키지를 지원하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패키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네트워크 관련 패키지는 다음과 같습니다.BusyBox의 네트워크 유틸리티: ifconfig, udhcpc, wget 등DHCP 클라이언트 및 서버: dhcpcd, udhcpdSSH 서버: d..

Linux/buildroot 2025.04.23

커널 로그 분석 및 디버깅

커널 로그 분석 및 디버깅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커널 디버깅은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 최적화를 위해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커널 로그 분석과 디버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와 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번 글에서는 dmesg와 procfs를 활용한 기본적인 로그 분석 방법과 kgdb, ftrace를 이용한 커널 디버깅 기법을 설명합니다.1. dmesg와 procfs를 활용한 로그 분석1.1 dmesg 명령어 활용dmesg는 커널 메시지 버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로, 커널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오류 메시지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는 주로 부팅 과정, 드라이버 로딩, 시스템 오류 등의 문제를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dmesg | less필요한 정보를 특정 키워드로 필터링할 수도 있습니다.d..

Android/Framework 2025.04.22

gdbserver를 활용한 원격 디버깅

gdbserver를 활용한 원격 디버깅Buildroot를 활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할 때, 원격 디버깅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특히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디버깅 기법을 사용하면, 직접 디바이스에 접근하지 않고도 오류를 분석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dbserver를 활용한 원격 디버깅 방법을 설명하고, Buildroot 환경에서 gdbserver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하겠습니다.1. gdbserver란?gdbserver는 GNU Debugger(GDB)의 원격 디버깅을 지원하는 서버 프로그램입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로컬 개발 환경에서 디버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gdbserver는 타겟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호스트 머신에서 ..

Linux/buildroot 2025.04.22

Android 디버깅 기법

Android 디버깅 기법Android 개발에서는 다양한 디버깅 기법이 필요합니다. 특히, 복잡한 시스템 구조를 가진 Android 환경에서는 단순한 로그 출력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Logcat을 비롯하여 dumpsys, strace, systrace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디버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도구들을 활용한 디버깅 기법을 소개하고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 코드와 함께 실무에서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1. Logcat을 활용한 디버깅Logcat은 Android의 기본 로그 시스템으로, 시스템 로그를 확인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나 동작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1.1 L..

Android/Framework 2025.04.21

SSH, Telnet을 이용한 원격 접속 설정

SSH, Telnet을 이용한 원격 접속 설정1. 개요Buildroot를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을 구축할 때, 원격에서 접근하여 시스템을 관리하고 디버깅하는 기능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SSH 및 Telnet을 설정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임베디드 장치에 접속하여 파일을 전송하거나 터미널을 활용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Buildroot를 이용하여 SSH 및 Telnet을 활성화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2. SSH 설정SSH(Secure Shell)는 보안이 강화된 원격 접속 방식으로, OpenSSH를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2.1 OpenSSH 패키지 추가Buildroot에서 OpenSSH를 활성화하려면 Buildroot의 설정 메뉴에서 관련 패키..

Linux/buildroot 2025.04.21

Android 디바이스 포팅

Android 디바이스 포팅Android를 새로운 디바이스에 포팅하는 과정은 상당히 복잡한 작업이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스택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Android 디바이스 포팅 과정에서 중요한 단계인 BoardConfig 설정, Device Tree 구성, 커널 설정 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 코드와 함께 구체적인 설정 방법을 다루겠습니다.1. Android 디바이스 포팅 개요Android 디바이스 포팅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AOSP 소스 코드 다운로드 및 빌드 환경 설정하드웨어 지원을 위한 BoardConfig 설정Device Tree 및 커널 구성부트로더 및 부팅 이미지 설정HAL 및 드라이..

Android/Framework 2025.04.20

Buildroot 패키지 빌드 및 디버깅

Buildroot 패키지 빌드 및 디버깅1. 개요Buildroot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루트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강력한 도구이며, 다양한 패키지를 추가하고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패키지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빌드 오류나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빌드 및 디버깅 기법이 필요합니다.본 포스팅에서는 Buildroot에서 패키지를 빌드하는 과정과 빌드 오류 및 실행 오류를 디버깅하는 방법을 다룹니다.2. Buildroot에서 패키지 빌드 과정Buildroot에서 패키지가 빌드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패치 적용: 패키지의 소스 코드에 필요한 패치가 적용됩니다.설정(Configuration) 적용: 해당 패키지의 설정이 .config ..

Linux/buildroot 2025.04.20

AOSP 소스 코드 수정 및 커스텀 기능 추가

AOSP 소스 코드 수정 및 커스텀 기능 추가Android Open Source Project(AOSP)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제조사나 개발자는 Android 시스템을 원하는 대로 수정하고 확장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AOSP 소스를 수정하여 커스텀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SystemUI를 변경하는 방법, 그리고 Framework 코드를 수정 및 확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AOSP 소스 코드 다운로드 및 빌드 환경 설정AOSP 소스를 수정하기 전에 먼저 소스 코드를 다운로드하고 빌드 환경을 설정해야 합니다. 아래는 기본적인 AOSP 소스 다운로드 및 빌드 환경 설정 과정입니다.1. AOSP 소스 코드 다운로드mkdir aospcd aosprepo init -u https..

Android/Framework 2025.04.19

새로운 패키지 작성법 (.mk 파일 작성)

새로운 패키지 작성법 (.mk 파일 작성)Buildroot는 경량화된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을 손쉽게 빌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Buildroot의 강점 중 하나는 다양한 패키지를 손쉽게 추가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Buildroot에서 새로운 패키지를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핵심 파일인 .mk 파일을 작성하는 과정을 예제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1. Buildroot 패키지 구조 개요Buildroot에서 패키지는 package/ 디렉터리 아래에 위치합니다. 새로운 패키지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렉터리에 새로운 패키지 폴더를 생성하고, 필요한 파일을 작성해야 합니다.새로운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파일들로 구성됩니다:Config.in : Kconfig 시스..

Linux/buildroot 2025.04.19

이상 온도 감지 시 AWS SNS를 통해 알림 전송

이상 온도 감지 시 AWS SNS를 통해 알림 전송이번 포스팅에서는 ESP32 기반의 온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상 온도 감지 시 AWS SNS(Simple Notification Service)를 통해 알림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이 시스템은 온도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AWS SNS를 통해 알림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AWS IoT Core와 SNS를 연동하여 이상 온도를 감지하면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할 것입니다.1. 시스템 구성1.1. ESP32 디바이스ESP32는 온도 센서를 연결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해당 데이터를 AWS IoT Core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DHT11 온..

AWS IoT 2025.04.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