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CAN Open

CANOpen 개발 라이브러리 및 툴

임베디드 친구 2025. 8. 3. 11:52
728x90
반응형

CANOpen 개발 라이브러리 및 툴

CANOpen을 활용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서는 효율적인 프로토콜 구현을 위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와 툴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CANOpen 개발 라이브러리로는 CANopenNodeCANFestival이 있으며, 이들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CANOpen 프로토콜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본 장에서는 각각의 라이브러리의 특징과 사용법을 설명하고, STM32F429에서의 적용 방법을 다룹니다.

CANopenNode

CANopenNode는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CANOpen 스택으로, 높은 유연성과 모듈성을 갖춘 것이 특징입니다.

주요 특징

  • ANSI C로 구현되어 있어 다양한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사용 가능
  • Object Dictionary 기반의 구조화된 데이터 관리
  • 기본적인 CANOpen 노드 기능(Heartbeat, NMT, PDO, SDO 등) 지원
  • 다양한 보드와 MCU에 쉽게 포팅 가능
  • GitHub를 통해 지속적인 유지보수 및 업데이트 제공

설치 및 구성

  1. 소스 코드 다운로드

    git clone https://github.com/CANopenNode/CANopenNode.git
  2. 프로젝트 설정

    • CO_driver_target.h 파일에서 사용자의 하드웨어 환경에 맞게 드라이버 설정
    • OD.hOD.c 파일을 생성하여 Object Dictionary 구성
  3. STM32F429에서의 적용

    • STM32CubeIDE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CAN 드라이버 설정
    • CO_driver_STM32.c 파일을 작성하여 HAL CAN 드라이버와 연결
    • FreeRTOS와 통합하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실행 가능

CANFestival

CANFestival은 또 다른 오픈소스 CANOpen 스택으로, 높은 확장성과 함께 여러 운영체제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 동적 Object Dictionary 생성 기능 제공
  • 다양한 플랫폼 지원 (Linux, Windows, RTOS, Bare-metal)
  • XML 기반의 Object Dictionary 관리 기능
  • 다양한 CAN 인터페이스와 연동 가능

설치 및 구성

  1. 소스 코드 다운로드

    git clone https://github.com/CANFestival/CANFestival.git
  2. Object Dictionary 생성

    • canod 도구를 사용하여 XML 기반의 Object Dictionary 생성
    • make 명령어로 Object Dictionary를 C 코드로 변환
  3. STM32F429에서의 적용

    • STM32CubeIDE에서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CAN 드라이버 구성
    • CO_Main.c 파일에서 CANFestival 라이브러리 초기화 및 실행 코드 추가
    • FreeRTOS와 결합하여 실시간 동작 구현

비교 및 선택

라이브러리 특징 장점 단점
CANopenNode 경량, ANSI C 기반, 다양한 MCU 지원 유연하고 확장성이 높음 설정이 다소 복잡
CANFestival XML 기반 Object Dictionary 설정이 쉬움 코드 크기가 상대적으로 큼

STM32F429 기반의 프로젝트에서는 CANopenNode가 보다 적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경량화된 구조와 함께 MCU 환경에서의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XML 기반의 Object Dictionary 관리를 선호하는 경우 CANFestival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