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11

BOARD_SEPOLICY_DIRS와 PRODUCT_PRIVATE_SEPOLICY_DIRS 차이

BOARD_SEPOLICY_DIRS와 PRODUCT_PRIVATE_SEPOLICY_DIRS 차이개요Android에서 SELinux 정책을 적용할 때, 여러 디렉터리가 사용됩니다. 특히,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에서는 BOARD_SEPOLICY_DIRS와 PRODUCT_PRIVATE_SEPOLICY_DIRS라는 두 가지 주요 변수를 사용하여 SEPolicy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변수의 역할과 차이점을 설명하고, 실제 적용 방법을 예제 코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1. BOARD_SEPOLICY_DIRS란?BOARD_SEPOLICY_DIRS는 Android 빌드 시스템에서 특정 보드(Board) 또는 SoC(System on Chip)에 종속적인 SELin..

Android/Seploicy 2025.05.05

Buildroot 로그 분석 및 디버깅 방법

Buildroot 로그 분석 및 디버깅 방법Buildroot를 이용해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할 때, 디버깅은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특히, 부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려면 적절한 로그 분석과 디버깅 방법이 필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Buildroot 환경에서 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 그리고 디버깅 기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1. Buildroot에서의 로그 수집Buildroot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로그가 생성되며, 이를 통해 시스템의 상태와 오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로그 파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커널 로그: /var/log/dmesg, dmesg 명령어시스템 로그: /var/log/messages, /var/log/..

Linux/buildroot 2025.05.05

AOSP에서 sepolicy 빌드 과정

AOSP에서 sepolicy 빌드 과정Android Open Source Project(AOSP)에서는 SELinux(sepolicy) 정책을 빌드하고 적용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SELinux는 Android 보안 모델의 핵심 요소로, 시스템 전반에 걸쳐 강력한 액세스 제어를 수행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OSP에서 sepolicy를 빌드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1. AOSP 환경 설정 및 빌드 준비1.1 AOSP 소스 코드 다운로드AOSP에서 sepolicy를 빌드하려면 전체 소스 코드가 필요합니다. Google의 AOSP 저장소에서 소스를 클론해야 합니다.repo init -u https://android.googlesource.com/platform/manifest -b android..

Android/Seploicy 2025.05.04

Buildroot 빌드 속도 개선 및 캐시 활용

Buildroot 빌드 속도 개선 및 캐시 활용Buildroot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루트 파일 시스템과 커널, 부트로더 등을 쉽게 빌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그러나 빌드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특히 크로스 컴파일 환경에서는 성능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이 글에서는 Buildroot의 빌드 속도를 개선하고, 캐시를 활용하여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다룹니다.1. 빌드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Buildroot의 빌드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이 빌드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CPU 성능: 빌드는 다중 스레드를 활용할 수 있지만, CPU 성능이 낮다면 속도가 저하됩니다...

Linux/buildroot 2025.05.04

Android SELinux 정책에서 서비스,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 정의하기

Android SELinux 정책에서 서비스,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 정의하기1. 개요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는 Android에서 강력한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SELinux 정책을 설정하면 서비스,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ELinux 정책에서 서비스, 바이너리, 파일 시스템을 정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주요 규칙을 예제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2. 서비스에 대한 SELinux 정책 정의Android의 System Service 또는 HAL 서비스를 SELinux 정책으로 정의할 때는 해당 서비스의 도메인과 그에 대한 적절한 규칙을 추가해야 합니다.2.1 서비스 도메인 생성SELinux 정책에..

Android/Seploicy 2025.05.02

Buildroot에서 업데이트 스크립트 작성 및 배포

Buildroot에서 업데이트 스크립트 작성 및 배포개요Buildroot를 활용한 시스템에서 Over-the-Air(OTA) 업데이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업데이트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이를 배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업데이트 스크립트 작성 방법과 이를 Buildroot 환경에서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1. OTA 업데이트 개념OTA 업데이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을 원격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을 현장에서 직접 업데이트할 필요 없이 소프트웨어를 유지보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OTA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업데이트 파일 다운로드: 원격 서버에서 최신 업데이트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무결성 검증: 다운로드한 파일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Linux/buildroot 2025.05.02

A/B 파티션을 이용한 안전한 업데이트 기법

A/B 파티션을 이용한 안전한 업데이트 기법1. 개요임베디드 시스템에서 Over-the-Air(OTA) 업데이트는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하지만 업데이트 과정에서 전원이 꺼지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A/B 파티션 업데이트 기법이 사용됩니다. 이 기법을 활용하면 새로운 펌웨어를 적용하기 전에 기존 펌웨어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전한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Buildroot 환경에서 A/B 파티션 업데이트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예제와 함께 적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2. A/B 파티션 업데이트 개념A/B 파티션 업데이트는 두 개의 독립적인 파티션(A와 B)을 사용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하나의 파티션이 활성 상태(active)로 실행되고 있을..

Linux/buildroot 2025.05.01

Android SELinux 정책 설정: domain, file_contexts, genfs_contexts 설정 방법

Android SELinux 정책 설정: domain, file_contexts, genfs_contexts 설정 방법SELinux는 Android 시스템에서 강제 접근 제어(MAC)를 적용하는 중요한 보안 기능입니다. SELinux 정책은 다양한 규칙과 컨텍스트를 정의하여 프로세스와 리소스 간의 상호 작용을 제어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omain, file_contexts, genfs_contexts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domain 설정 방법1.1 domain 개념domain은 SELinux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컨텍스트입니다. 특정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스는 SELinux 정책에서 정의된 특정 도메인으로 실행됩니다. 도메인은 주로 type 속성을 ..

Android/Seploicy 2025.05.01

Android SELinux 정책 문법과 규칙

Android SELinux 정책 문법과 규칙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는 리눅스 커널에 추가된 보안 모듈로, Android에서는 필수적인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데 사용됩니다. Android의 SELinux 정책은 MAC(Mandatory Access Control, 강제 접근 제어)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시스템 내에서 프로세스와 리소스 간의 접근을 제어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type, attribute, allow, neverallow 등의 주요 규칙을 중심으로 SELinux 정책 문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또한, 관련된 예제 코드를 함께 제공하여 정책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1. type (타입)1.1 type의 개념type은 SELinux..

Android/Seploicy 2025.04.30

Buildroot 기반의 시스템 OTA 업데이트 방법

Buildroot 기반의 시스템 OTA 업데이트 방법Buildroot를 이용해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할 때, 원격에서 시스템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Over-the-Air(OTA)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보안 패치를 적용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접근 없이도 유지보수가 가능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Buildroot를 활용하여 시스템의 OTA 업데이트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1. OTA 업데이트 개요OTA 업데이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됩니다.A/B 파티션 업데이트: 두 개의 파티션(A, B)을 운영하며, 한쪽 파티션을 업데이트한 후 부팅을 전환하는 방식패키..

Linux/buildroot 2025.04.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