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Custom System Service

Android 사용자 정의 System Service 만들기 - HAL 연동 및 성능 최적화

임베디드 친구 2025. 6. 11. 22:11
728x90
반응형

Android 사용자 정의 System Service 만들기 - HAL 연동 및 성능 최적화

Android에서 사용자 정의 System Service를 개발할 때,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과의 연동, 기존 Android 서비스와의 연계, 성능 최적화는 필수적인 고려 요소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중심으로 System Service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HAL (Hardware Abstraction Layer)과의 연동

HAL은 Android에서 하드웨어와 프레임워크 사이의 추상 계층을 담당하며, System Service가 직접 하드웨어와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HAL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 변경이 발생해도 Android 프레임워크의 변경 없이 기존 System Service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1.1 HAL 인터페이스 정의

사용자 정의 HAL을 추가하려면 AIDL이나 HIDL을 활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정의해야 합니다. Android 10 이후부터는 대부분 AIDL을 권장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AIDL을 활용한 HAL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AIDL 파일 작성 (IExampleHal.aidl)

package vendor.example.hardware;

interface IExampleHal {
    int getSensorData();
    void setDeviceState(int state);
}

위 AIDL 파일을 기반으로 HAL 서비스가 구현되며, System Service에서는 이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하드웨어 데이터를 읽거나 설정할 수 있습니다.

1.2 HAL 구현 (ExampleHal.cpp)

#include "IExampleHal.h"
#include <android/log.h>
#define LOG_TAG "ExampleHal"

namespace vendor::example::hardware::implementation {

class ExampleHal : public IExampleHal {
public:
    int getSensorData() override {
        return 100; // 센서 데이터 예제 값
    }
    void setDeviceState(int state) override {
        __android_log_print(ANDROID_LOG_INFO, LOG_TAG, "Device state set to: %d", state);
    }
};

extern "C" IExampleHal* HIDL_FETCH_IExampleHal(const char* name) {
    return new ExampleHal();
}

} // namespace vendor::example::hardware::implementation

위 코드를 통해 HAL이 실제 센서 데이터를 반환하거나, 장치 상태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기존 Android 서비스와의 연계

사용자 정의 System Service를 만들 때, 기존 Android 서비스와의 연계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udioService, PowerManager, SensorService 등과 통합하여 더욱 강력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2.1 System Service에서 기존 서비스 가져오기

Android의 ServiceManager를 활용하여 다른 서비스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PowerManagerService 활용 예제

import android.content.Context;
import android.os.PowerManager;

public class ExampleSystemService extends SystemService {
    private PowerManager mPowerManager;

    public ExampleSystemService(Context context) {
        super(context);
    }

    @Override
    public void onStart() {
        mPowerManager = (PowerManager) getContext().getSystemService(Context.POWER_SERVICE);
    }

    public void shutdownDevice() {
        if (mPowerManager != null) {
            mPowerManager.reboot("shutdown");
        }
    }
}

위와 같이 기존 서비스의 기능을 가져와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2 BroadcastReceiver 활용

System Service에서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고, 기존 Android 서비스와 연계하려면 BroadcastReceiver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ublic class ExampleReceiver extends BroadcastReceiver {
    @Override
    public void onReceive(Context context, Intent intent) {
        if (intent.getAction().equals(Intent.ACTION_SCREEN_OFF)) {
            Log.d("ExampleReceiver", "Screen turned off");
        }
    }
}

이 코드는 화면이 꺼지는 이벤트를 감지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System Service의 성능 최적화 및 부하 관리

System Service는 Android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만큼 성능 최적화와 부하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주요 최적화 기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1 Binder 호출 최소화

Android의 IPC 메커니즘인 Binder는 빈번한 호출이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배치 전송: 여러 개의 작은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대신, 하나의 큰 데이터 구조로 묶어서 전송
  • 캐싱 활용: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요청하는 경우, 캐시를 활용하여 불필요한 IPC 호출을 줄이기
  • 비동기 처리: HandlerThreadAsyncTask를 활용하여 UI 스레드에서 직접 IPC 호출을 수행하지 않기

3.2 ServiceThread 활용

System Service에서 CPU 작업량이 많은 처리를 수행하면 ANR(Application Not Responding)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ServiceThread를 활용해야 합니다.

public class ExampleService extends SystemService {
    private HandlerThread mHandlerThread;
    private Handler mHandler;

    public ExampleService(Context context) {
        super(context);
    }

    @Override
    public void onStart() {
        mHandlerThread = new HandlerThread("ExampleServiceThread");
        mHandlerThread.start();
        mHandler = new Handler(mHandlerThread.getLooper());
    }

    public void doBackgroundTask() {
        mHandler.post(() -> {
            Log.d("ExampleService", "Background task running");
        });
    }
}

위와 같이 별도의 스레드에서 작업을 수행하면 UI 스레드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3.3 WakeLock 활용

System Service가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기기가 슬립 모드로 들어가면 작업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WakeLock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werManager pm = (PowerManager) getSystemService(Context.POWER_SERVICE);
PowerManager.WakeLock wakeLock = pm.newWakeLock(PowerManager.PARTIAL_WAKE_LOCK, "MyApp::MyWakelockTag");
wakeLock.acquire();
// 중요한 작업 수행
wakeLock.release();

이 방법을 사용하면 기기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Android 사용자 정의 System Service 개발 시 고려해야 할 HAL 연동, 기존 서비스와의 연계, 성능 최적화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HAL을 통해 하드웨어와의 통신을 간편하게 하고, 기존 서비스를 연계하여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며, 성능 최적화를 통해 원활한 시스템 동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으로 System Service를 구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