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03

SHA-3(Secure Hash Algorithm 3) 해시 알고리즘

SHA-3(Secure Hash Algorithm 3) 해시 알고리즘이번 포스팅에서는 SHA-3 (Secure Hash Algorithm 3)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JAVA와 C 언어로 구현하는 예제를 함께 다루어 보겠습니다. SHA-3는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표준화한 최신 해시 알고리즘 중 하나로, 이전 SHA-2의 보안성을 더욱 강화하고 충돌 저항성을 높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SHA-3의 특징, 활용, 그리고 기본적인 구현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SHA-3란?SHA-3는 2015년에 발표된 암호학적 해시 함수로, 기존의 SHA-1, SHA-2와는 다르게 새로운 Keccak 해시 함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SHA..

Android - Firebase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인증 기능 구현하기

Android - Firebase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인증 기능 구현하기Firebase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인증 기능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는 훌륭한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irebase Realtime Database와 Authentication을 사용해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인증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예제 코드는 Kotlin으로 작성되었습니다.1.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설정먼저 Firebas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Android 애플리케이션에 Firebase를 설정해야 합니다.1.1 Firebase 프로젝트 생성Firebase 콘솔에 접속합니다.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정하고, 사용 약관..

Android/Application 2024.12.01

STM32F429ZI Ethernet 설정 및 간단한 HTTP 서버 구현하기

STM32F429ZI Ethernet 설정 및 간단한 HTTP 서버 구현하기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장"의 독자 여러분! 오늘은 STM32F429ZI 개발보드에서 이더넷 기능을 활용해 네트워킹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려 합니다. STM32CubeIDE를 이용한 IO 설정과 lwIP 스택을 사용하여 간단한 HTTP 서버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이 이더넷 설정을 확실히 이해하고, 네트워킹을 통해 STM32 개발보드로 간단한 웹 서버를 구동할 수 있길 바랍니다.1. STM32CubeIDE에서 이더넷 설정하기STM32CubeIDE는 STM32 개발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으로, STM32CubeMX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IO 설정이 매우 편리합니다. 이더넷 설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STM32 2024.12.01

SHA-2 해시 알고리즘 소개

SHA-2 해시 알고리즘 소개SHA-2 (Secure Hash Algorithm 2)는 데이터를 고정된 크기의 해시 값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암호화 해시 함수입니다. SHA-2는 NIST(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암호화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SHA-2에는 SHA-224, SHA-256, SHA-384, SHA-512와 같은 여러 변형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변형은 출력 길이와 보안 수준이 다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SHA-2 알고리즘에 대해 이해하고, Java 및 Linux C 언어로 직접 구현해 보겠습니다.SHA-2의 기본 개념SHA-2는 주어진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으로 변환합니다. 일반적으로 해시 함수는 ..

Android - Google Play Store 배포하기 및 주의 사항

Android - Google Play Store 배포하기 및 주의 사항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면, 다음 단계는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Google Play Store에 앱을 배포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oogle Play Store에 앱을 배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배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의 사항과 문제 해결 방법을 예제와 함께 다룹니다.1. Google Play Console 설정하기Google Play Store에 앱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Google Play Console을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Google 계정 만들기 또는 로그인: 먼저 Google 계정이 필요합니다..

Android/Application 2024.11.30

STM32 USB 호스트/디바이스 설정 및 사용법

STM32 USB 호스트/디바이스 설정 및 사용법안녕하세요! 오늘은 STM32F429ZI 보드를 사용하여 USB 호스트/디바이스 기능을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발 환경은 STM32CubeIDE로 진행할 예정이며, IO 설정부터 USB HID 예제까지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STM32F429ZI에서 USB를 활용하는 방법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1. 프로젝트 생성 및 USB 설정하기1.1 STM32CubeIDE에서 새 프로젝트 생성먼저 STM32CubeIDE를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 주세요.File > New > STM32 Project를 선택합니다.Target Selection 화면에서 STM32F429ZI를 검색하고 선택합니다.프..

STM32 2024.11.30

SHA-1 (Secure Hash Algorithm 1) 해시 알고리즘

SHA-1 (Secure Hash Algorithm 1) 해시 알고리즘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장'입니다! 오늘은 널리 사용되는 해시 알고리즘 중 하나인 SHA-1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JAVA와 Linux C로 구현하는 방법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SHA-1이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이해하고, 실제로 구현하는 경험을 가져보시길 바랍니다.SHA-1이란?SHA-1 (Secure Hash Algorithm 1)은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설계하고, 미국 국가표준기술연구소(NIST)에 의해 표준화된 해시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입력 데이터의 길이에 상관없이 160비트(20바이트)의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을 생성합니다.SHA-1은 다양한 보안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었지만,..

STM32 FreeRTOS - 실시간 운영체제 프로젝트 가이드

STM32 FreeRTOS - 실시간 운영체제 프로젝트 가이드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 공장'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STM32F429ZI를 이용하여 실시간 운영체제인 FreeRTOS를 설정하고, 기본적인 RTOS 프로젝트를 구성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FreeRTOS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멀티태스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FreeRTOS의 개념부터 태스크 생성, 세마포어와 큐를 이용한 멀티태스킹 구현까지 다뤄보겠습니다.1. FreeRTOS란 무엇인가?FreeRTOS는 오픈 소스 실시간 운영체제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멀티태스킹을 구현하기 위해 자주 사용됩니다. FreeRTOS는 태스크(task)라는 단위를 통해 여러 작업을 병렬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

STM32 2024.11.29

Android - 애플리케이션 배포 준비하기 [AndroidManifest 설정 및 ProGuard 적용]

Android - 애플리케이션 배포 준비하기 AndroidManifest 설정 및 ProGuard 적용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배포 준비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게 배포될 때의 안정성과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ndroidManifest 파일의 주요 설정과 ProGuard를 통한 난독화 적용을 중심으로 배포를 준비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히게 될 것입니다.1. AndroidManifest 설정하기AndroidManifest.xml은 모든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의 핵심적인 설정 파일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 권한, 버전..

Android/Application 2024.11.29

MD5 (Message Digest Algorithm 5) 해시

MD5 (Message Digest Algorithm 5) 해시1. MD5란 무엇인가?MD5(Message Digest Algorithm 5)는 1991년 미국의 Ron Rivest에 의해 개발된 해시 함수입니다. 주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사하거나 디지털 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MD5는 주어진 입력 데이터로부터 128비트(16바이트) 길이의 해시 값을 생성하며, 이 해시 값은 입력 데이터가 조금만 달라져도 완전히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하지만 MD5는 보안성에 있어 심각한 결함이 발견되어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목적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D5는 여전히 체크섬 검증, 데이터 무결성 검사와 같은 비암호학적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이 포스팅에서는 MD5 알고리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