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Framework

Android의 역사와 발전 과정

임베디드 친구 2025. 3. 14. 09:43
728x90
반응형

Android의 역사와 발전 과정

1. 서론

Android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바일 운영체제입니다. 2003년 Android Inc.에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2005년 Google이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2008년 최초의 상용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이후 꾸준한 발전을 거쳐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스마트 TV,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Android의 역사와 주요 발전 과정을 AOSP 코드와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2. Android의 탄생과 초기 개발 (2003 - 2008)

2.1 Android Inc.의 설립

2003년, Andy Rubin, Rich Miner, Nick Sears, Chris White는 모바일 기기를 위한 운영체제를 개발하기 위해 Android Inc.를 설립하였습니다.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를 위한 운영체제를 개발하려 하였으나, 이후 스마트폰 시장이 급격히 성장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방향을 전환하였습니다.

2.2 Google의 인수와 개발 가속화

2005년, Google은 Android Inc.를 인수하고, Andy Rubin을 중심으로 개발을 지속하였습니다. 당시 Google은 Microsoft의 Windows Mobile과 Symbian OS가 지배적인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해 새로운 개방형 운영체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2.3 첫 번째 Android 버전 출시

2007년 11월, Google은 Open Handset Alliance(OHA)를 결성하고 Android를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2008년 9월, 최초의 상용 Android 버전인 Android 1.0이 출시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HTC Dream(G1)이 첫 번째 Android 스마트폰으로 공개되었습니다.

3. Android의 주요 버전과 발전 과정

3.1 Android 1.x - 2.x: 기초 확립 (2008 - 2011)

Android 1.0 & 1.1

  • Android Market(현재의 Google Play) 도입
  • 웹 브라우저, Gmail, Google Maps 등 기본 애플리케이션 제공
  • Wi-Fi, Bluetooth, 카메라 지원

Android 1.5 (Cupcake)

  • 가상 키보드 지원
  • 위젯 기능 추가
  • 동영상 녹화 및 재생 기능 제공

Android 1.6 (Donut)

  • CDMA 네트워크 지원
  • 해상도 다양화 지원

Android 2.0 - 2.3 (Eclair, Froyo, Gingerbread)

  • 멀티터치 지원
  • Google Maps 내장 네비게이션 제공
  • 성능 최적화 및 전력 관리 개선
  • NFC 기능 도입 (Gingerbread)

3.2 Android 3.x: 태블릿을 위한 Honeycomb (2011)

  • 태블릿 전용 UI 도입
  • 시스템 바(System Bar) 및 액션 바(Action Bar) 개념 도입
  • 멀티코어 프로세서 지원 강화
  • USB 호스트 및 외부 저장 장치 지원

3.3 Android 4.x: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통합 (2011 - 2013)

Android 4.0 (Ice Cream Sandwich)

  • 스마트폰과 태블릿 UI 통합
  • Holo UI 디자인 도입
  • 얼굴 인식 잠금 해제 기능 추가

Android 4.1 - 4.3 (Jelly Bean)

  • Project Butter 도입 (UI 성능 개선)
  • Google Now 도입
  • 멀티유저 기능 추가
  • OpenGL ES 3.0 지원

3.4 Android 5.x - 6.x: 현대적 UI와 성능 개선 (2014 - 2015)

Android 5.0 (Lollipop)

  • Material Design 도입
  • ART(Android Runtime) 기본 런타임으로 전환
  • 64비트 아키텍처 지원

Android 6.0 (Marshmallow)

  • 앱 권한 관리 기능 추가
  • 지문 인식 API 제공
  • Doze 모드 도입 (배터리 절약 기능)

3.5 Android 7.x - 9.x: 최적화와 AI 도입 (2016 - 2018)

Android 7.0 - 7.1 (Nougat)

  • 멀티 윈도우 지원
  • Vulkan API 지원

Android 8.0 - 8.1 (Oreo)

  • 백그라운드 실행 제한 강화
  • 자동완성 API 추가
  • Project Treble 도입 (OS 업데이트 구조 개선)

Android 9 (Pie)

  • 제스처 내비게이션 지원
  • 배터리 절약을 위한 Adaptive Battery 도입
  • Digital Wellbeing 기능 추가

3.6 Android 10 - 현재: 최신 기술 도입 (2019 - 현재)

Android 10

  • 전체 화면 제스처 내비게이션
  • 다크 모드 지원
  • Scoped Storage 도입 (보안 강화)

Android 11

  • 대화 관리 기능 개선
  • 원격 미디어 컨트롤 추가
  • 5G 네트워크 최적화

Android 12

  • Material You 디자인 도입
  • 성능 최적화 및 보안 기능 강화

Android 13 - 14

  • 프라이버시 및 보안 기능 강화
  • 대화형 위젯 추가
  • 성능 개선 및 전력 최적화

4. AOSP 코드 구조와 발전

Android는 AOSP(Android Open Source Project)로 운영되며,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4.1 Android의 주요 구성 요소

  • Linux Kernel: Android의 핵심으로, 메모리 관리, 드라이버, 전력 관리 등을 담당합니다.
  •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L): 하드웨어와 상위 소프트웨어 계층을 연결하는 API 계층입니다.
  • Android Runtime (ART): 앱 실행을 담당하는 런타임 환경으로, Dalvik을 대체하였습니다.
  • Framework API: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API 계층입니다.

5. 결론

Android는 2003년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다양한 디바이스에 최적화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스마트폰 운영체제였지만, 현재는 자동차, IoT, 스마트 가전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앞으로도 Android는 보안, 성능, AI, 사용자 경험 개선을 중심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