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과 최적화 알고리즘 비교
1. 개요
딥러닝 모델을 훈련할 때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입니다. 신경망의 가중치를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며,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학습이 진행됩니다. 그러나 경사 하강법에도 다양한 변형이 있으며, 각 방법은 특정한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사 하강법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비교하여 실전에서의 선택 기준을 정리해보겠습니다.
2.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 개념
2.1 경사 하강법이란?
경사 하강법은 손실 함수(Loss Function) 를 최소화하기 위해 함수의 기울기를 따라 이동하는 최적화 기법입니다.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
\theta_{t+1} = \theta_t - \alpha \nabla J(\theta_t)
$$
여기서:
- $\theta_t$ : 현재 가중치 (파라미터)
- $\alpha$ : 학습률 (Learning Rate)
- $\nabla J(\theta_t)$ : 현재 손실 함수의 기울기
경사 하강법을 통해 가중치를 갱신하면서 최적의 값으로 수렴하게 됩니다.
2.2 경사 하강법의 종류
경사 하강법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존재합니다.
배치 경사 하강법(Batch Gradient Descent, BGD)
- 전체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기울기를 계산
- 안정적인 수렴을 보이지만 계산량이 큼
확률적 경사 하강법(Stochastic Gradient Descent, SGD)
- 한 개의 샘플만을 사용하여 기울기를 계산
- 빠른 갱신이 가능하지만 진동이 심하여 최적점에 수렴하기 어려움
미니배치 경사 하강법(Mini-batch Gradient Descent)
- 일정 크기의 샘플(미니배치)을 사용하여 기울기를 계산
- BGD와 SGD의 절충안으로 가장 많이 사용됨
다음은 경사 하강법을 구현한 간단한 예제입니다.
import numpy as np
# 손실 함수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함수 (예제: y = x^2의 기울기)
def gradient(x):
return 2 * x
# 경사 하강법 구현
def gradient_descent(learning_rate=0.1, epochs=20, initial_x=10):
x = initial_x # 초기값 설정
for epoch in range(epochs):
grad = gradient(x) # 기울기 계산
x -= learning_rate * grad # 가중치 업데이트
print(f'Epoch {epoch+1}: x = {x:.5f}')
# 실행
gradient_descent()
위 코드에서 초기값 10에서 시작하여 학습률 0.1을 사용하여 최적점(0)으로 수렴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최적화 알고리즘 비교
경사 하강법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최적화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습니다. 여기서는 주요한 최적화 알고리즘을 비교해보겠습니다.
3.1 모멘텀(Momentum)
모멘텀은 과거의 기울기 정보를 활용하여 더욱 빠르게 수렴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표현됩니다.
$$
v_t = \beta v_{t-1} + (1-\beta) \nabla J(\theta_t)
$$
$$
\theta_{t+1} = \theta_t - \alpha v_t
$$
여기서 $\beta$는 이전 업데이트를 얼마나 반영할 것인지 결정하는 계수입니다. 모멘텀을 사용하면 기울기 변화가 급격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수렴할 수 있습니다.
3.2 RMSprop(Root Mean Square Propagation)
RMSprop은 학습률을 적응적으로 조정하여 학습 속도를 개선하는 기법입니다. 주어진 기울기의 이동 평균을 이용하여 학습률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3.3 Adam(Adaptive Moment Estimation)
Adam은 모멘텀과 RMSprop을 결합한 방법으로, 딥러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최적화 알고리즘입니다.
Adam의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m_t = \beta_1 m_{t-1} + (1 - \beta_1) \nabla J(\theta_t)
$$
$$
v_t = \beta_2 v_{t-1} + (1 - \beta_2) (\nabla J(\theta_t))^2
$$
$$
\theta_{t+1} = \theta_t - \alpha \frac{m_t}{\sqrt{v_t} + \epsilon}
$$
Adam은 적응적 학습률을 가지며, 대부분의 딥러닝 모델에서 기본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사용됩니다.
3.4 최적화 알고리즘 비교
| 알고리즘 | 주요 특징 | 장점 | 단점 |
|---|---|---|---|
| SGD | 단순한 방식 | 구현이 쉬움, 계산량 적음 | 최적점에 도달하기 어려움 |
| Momentum | 가속 효과 | 빠르게 수렴 |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필요 |
| RMSprop | 적응적 학습률 | 빠른 수렴, 진동 감소 | 최적 조합 찾기 어려움 |
| Adam | 모멘텀 + RMSprop | 일반적으로 가장 좋은 성능 | 과적합 가능 |
4. 결론
경사 하강법은 딥러닝 모델을 최적화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며, 다양한 변형 알고리즘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Adam이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데이터 특성에 따라 적절한 최적화 기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전에서는 여러 기법을 테스트하고 비교하여 최적의 성능을 보장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경사 하강법 개념과 주요 최적화 알고리즘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Python > Deep Lear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손실 함수와 비용 함수의 차이 및 활용 (0) | 2025.11.25 |
|---|---|
| 활성화 함수란? (ReLU, Sigmoid, Tanh 등) (0) | 2025.11.24 |
| 뉴런과 퍼셉트론: 기초부터 이해하기 (0) | 2025.11.23 |
| 인공신경망(ANN)의 개념과 역사 (0) | 2025.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