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Kernel Driver 26

Board Support Package (BSP) 이해

Board Support Package (BSP) 이해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서 Board Support Package (BSP)는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BSP의 개념, 중요성, 그리고 기존 BSP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BSP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Rockchip RK3399 시스템을 기준으로 실질적인 BSP 작성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1. BSP란 무엇인가?BSP(Board Support Package)는 특정 하드웨어 보드에서 운영 체제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계층입니다. BSP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부트로더(Bootloader):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커널을 로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 U-Boot디바이스 드..

Linux/Kernel Driver 2025.03.12

Embedded Linux Kernel 포팅 기본

Embedded Linux Kernel 포팅 기본1. 서론Embedded 시스템에서 Linux Kernel을 포팅하는 것은 시스템 개발의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ockchip RK3399 시스템을 기준으로, 하드웨어 사양 분석에서부터 요구사항 정의까지 Linux Kernel 포팅의 기본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2. Embedded 시스템에서 Linux Kernel 포팅의 기본 절차2.1 하드웨어 사양 분석Embedded 시스템에 Linux Kernel을 포팅하려면 먼저 하드웨어 사양을 분석해야 합니다. 하드웨어 사양 분석은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합니다:CPU 아키텍처 확인: Rockchip RK3399은 ARMv8 기반의 Cortex-A72와 Cortex-A53 코어를 포함합니다..

Linux/Kernel Driver 2025.03.11

Device Tree의 이해

Device Tree의 이해Embedded Linux Kernel을 다룰 때, Device Tree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evice Tree의 개념과 기본 구조, 그리고 작성법에 대해 Rockchip RK3399 시스템을 기준으로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Device Tree란 무엇인가?Device Tree는 하드웨어의 구성을 소프트웨어에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이는 특히 ARM 기반의 SoC(System on Chip)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전통적으로 하드웨어 구성은 C 코드로 작성되었지만, 하드웨어가 복잡해지면서 유지보수가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따라 하드웨어 정보를 독립적인 데이터 파일로 분리한 Device Tree가 도입되..

Linux/Kernel Driver 2025.03.10

Embedded Linux 부트 프로세스 이해하기

Embedded Linux 부트 프로세스 이해하기Embedded Linux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부팅 프로세스를 이해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U-Boot, Bootloader, Kernel, Rootfs 간의 관계와 부팅 과정을 Rockchip RK3399 시스템을 기준으로 분석하겠습니다.Embedded Linux 부트 프로세스란?Embedded Linux 부트 프로세스는 전원이 켜진 후 시스템이 운영체제를 로드하고 실행하기까지의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아래와 같은 주요 단계로 나뉩니다:Boot ROM: 초기 하드웨어 초기화 및 부트로더 로드.Bootloader (U-Boot): 커널과 Rootfs 로드.Linux Kernel: 운영체제 ..

Linux/Kernel Driver 2025.03.09

Embedded Linux Kernel 빌드 환경 구축하기

Embedded Linux Kernel 빌드 환경 구축하기Embedded 시스템에서 Linux Kernel을 빌드하고 포팅하는 것은 복잡한 작업일 수 있지만, 올바른 방법을 따르면 비교적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ockchip RK3399을 기준으로 Kernel 소스 코드 다운로드부터 빌드 환경 구성까지의 과정을 다룹니다.1. Linux Kernel 빌드 환경 구축Linux Kernel을 빌드하려면 적절한 개발 환경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Ubuntu를 사용하는 경우의 환경 설정 과정입니다.1.1 필수 패키지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build-essential libncurses-dev bison flex libssl-dev libelf-de..

Linux/Kernel Driver 2025.03.08

Embedded Linux Kernel의 개요

Embedded Linux Kernel의 개요Embedded Linux란 무엇인가?임베디드 리눅스(Embedded Linux)는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최적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가전제품, IoT 기기, 자동차, 산업용 기기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임베디드 리눅스는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며,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아 빠르게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조업체는 시스템 요구 사항에 맞게 운영체제를 조정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합니다.Embedded Linux Kernel의 역할과 구조역할임베디드 리눅스 커널은 시스템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며, 다음과 같..

Linux/Kernel Driver 2025.03.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