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2/17 3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란?

1. CAN 통신의 개념과 역사1.1 CAN 통신이란?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독일의 보쉬(Bosch)사가 1980년대 초에 개발한 직렬 통신 프로토콜로, 자동차와 산업용 기기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CAN은 여러 개의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간의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신뢰성과 효율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CAN은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이 아닌 멀티마스터 방식으로 작동하며, 한 개의 노드(Node)가 데이터를 송신하면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이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특정 노드가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 간의 통신이 유지되는 높은 신뢰성을 제공합니다.1.2 CAN의 역사1980년대 초, 자동차 산업에..

CAN 통신 2025.02.17

C `stdlib.h` 개요 및 동적 메모리 할당

1. stdlib.h 개요C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인 stdlib.h는 다양한 유틸리티 함수들을 제공하며, 그중에서도 동적 메모리 할당 관련 함수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stdlib.h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동적 메모리 할당 (malloc, calloc, realloc, free)난수 생성 (rand, srand)문자열 변환 (atoi, atof, strtol, strtod 등)프로세스 제어 (exit, abort, system)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적 메모리 할당 관련 함수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2. 동적 메모리 할당의 필요성C 언어에서는 배열을 사용할 경우 크기를 미리 지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필요한 크기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이럴 때 동적..

ADB Shell을 활용한 시스템 제어

Android Debug Bridge(ADB)는 Android 기기와 PC 간의 명령어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adb shell 명령을 활용하면 Android 기기의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고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DB Shell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을 다루겠습니다.1. ADB Shell 실행adb shell 명령은 Android 기기의 Linux 기반 명령줄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Android 시스템 내부에서 직접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adb shell위 명령을 실행하면 Android 기기의 셸 환경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Linux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Android/ADB 2025.02.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