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Open 장치별 Node-ID 할당 방식 및 설정 방법
CANOpen 네트워크에서 각 장치는 고유한 Node-ID를 가져야 합니다. Node-ID는 네트워크 내에서 개별 장치를 식별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으면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본 장에서는 CANOpen 장치의 Node-ID를 할당하는 여러 방법과 설정 절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Node-ID의 개념
Node-ID는 1부터 127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장치는 네트워크에서 유일한 Node-ID를 가져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Node-ID는 장치의 물리적인 주소나 특정 설정에 의해 결정됩니다.
CANOpen에서는 Node-ID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고정 값으로 설정 (Static Configuration)
- 하드웨어 스위치를 이용한 설정 (DIP Switch, Rotary Switch)
- 소프트웨어 설정 (EDS/DCF 파일을 통한 설정)
- LSS (Layer Setting Services)를 이용한 동적 할당
1. 고정 값으로 설정 (Static Configuration)
일부 CANOpen 장치는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Node-ID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설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네트워크 확장 시 ID 충돌 가능성이 있습니다.
2. 하드웨어 스위치를 이용한 설정
하드웨어 스위치를 이용하여 Node-ID를 설정하는 방식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DIP 스위치나 로터리 스위치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Node-ID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릅니다.
- 장치의 하드웨어 매뉴얼을 확인하여 스위치의 위치를 찾습니다.
- DIP 스위치 또는 로터리 스위치를 원하는 Node-ID 값으로 설정합니다.
- 장치를 재부팅하여 새로운 Node-ID를 적용합니다.
이 방식은 설정이 직관적이고 변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원격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소프트웨어 설정 (EDS/DCF 파일을 통한 설정)
EDS(Electronic Data Sheet) 또는 DCF(Device Configuration File) 파일을 이용하여 Node-ID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 방법은 설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설정 툴을 통해 적용할 수 있습니다.
- CANOpen 장치의 EDS/DCF 파일을 편집합니다.
- Node-ID 항목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합니다.
- 설정 파일을 장치에 업로드한 후 적용합니다.
- 장치를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반영합니다.
이 방식은 네트워크 관리가 용이하고 대규모 시스템에서 유용하지만, EDS/DCF 파일을 지원하는 장치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4. LSS (Layer Setting Services)를 이용한 동적 할당
LSS는 CANOpen 네트워크에서 Node-ID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특히 네트워크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할 때 유용합니다. LSS를 사용하면 장치의 고유한 식별자(Vendor ID, Product Code 등)를 기반으로 Node-ID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CANOpen 마스터가 LSS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의 고유 ID를 검색합니다.
- 마스터가 각 장치에 적절한 Node-ID를 할당합니다.
- 설정이 완료된 후 장치는 새롭게 할당된 Node-ID를 사용하여 통신을 시작합니다.
이 방식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유용하며, 설정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LSS를 지원하는 장치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결론
Node-ID 할당 방식은 장치의 특성과 네트워크 구성 방식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정적인 방식(하드웨어 스위치, EDS 설정 등)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지만, 유연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반면, LSS와 같은 동적 방식은 자동화와 확장성이 뛰어나지만, 구현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여 최적의 Node-ID 할당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AN > CAN Op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Open 데이터 패킷 캡처 및 해석 (0) | 2025.07.29 |
---|---|
CANOpen 네트워크 분석 툴 (PCAN-View, CANalyzer, BusMaster) (0) | 2025.07.28 |
CANOpen DCF (Device Configuration File) (0) | 2025.07.26 |
CANOpen EDS (Electronic Data Sheet) (0) | 2025.07.25 |
CANOpen SYNC & TIME 메시지의 활용 (0) | 202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