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Daemon을 배포하고 유지보수하는 방법
1. 개요
Android NDK를 이용해 개발한 사용자 정의 Daemon을 효과적으로 배포하고 유지보수하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Android 시스템 이미지에 Daemon을 포함시키는 방법, OTA 업데이트 대응 방법, 로그 관리 및 문제 해결 방안을 설명합니다.
2. Android Daemon 배포 전략
사용자 정의 Daemon을 배포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APK를 통한 배포
- 시스템 이미지에 포함하여 배포
- 별도의 업데이트 서버를 이용한 배포
각 방법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포 방식 | 장점 | 단점 |
---|---|---|
APK를 통한 배포 | 기존 앱 업데이트 방식과 유사하여 개발 및 배포가 용이함 | 제한된 권한으로 실행되므로 시스템 서비스 수준의 작업 수행이 어려움 |
시스템 이미지에 포함 | 시스템 서비스 수준에서 실행 가능하며, 높은 안정성을 보장함 | 시스템 업데이트가 필요하여 배포 과정이 번거로움 |
별도 업데이트 서버 사용 | 버전 관리 및 핫픽스 적용이 가능함 | 추가적인 서버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보안 문제 발생 가능 |
Android Daemon은 일반적으로 높은 권한을 요구하므로 시스템 이미지에 포함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3. Android 시스템 이미지에 Daemon 포함시키기
시스템 이미지에 Daemon을 포함시키려면 Android의 AOSP 빌드 시스템을 활용해야 합니다. 아래 단계에 따라 진행합니다.
3.1. Daemon 실행 바이너리 추가
AOSP 소스 코드 내 system/core
또는 vendor
디렉터리에 Daemon 실행 파일을 추가합니다.
예제 코드: Android.bp
파일 작성
cc_binary {
name: "my_daemon",
srcs: ["my_daemon.cpp"],
static_executable: true,
init_rc: ["my_daemon.rc"],
vendor: true,
}
3.2. init 스크립트 작성
Daemon이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init.rc
파일을 작성합니다.
예제: my_daemon.rc
service my_daemon /system/bin/my_daemon
class main
user root
group root
oneshot
위 설정을 적용하면, 부팅 시 my_daemon
이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3.3. 시스템 빌드 및 플래싱
source build/envsetup.sh
lunch <target_device>
m -j my_daemon
adb push out/target/product/<device>/system/bin/my_daemon /system/bin/
adb shell chmod 755 /system/bin/my_daemon
이후, reboot
명령어를 실행하면 Daemon이 자동 실행됩니다.
4. OTA 업데이트 대응 방법
OTA(Over-the-Air) 업데이트를 통해 Daemon을 업데이트하려면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4.1. 업데이트 프로세스 설계
- A/B 파티션 방식 활용: A/B 시스템 업데이트 방식에서는 새 이미지를 배포하면서 기존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Atomic Update 적용: Daemon 업데이트 시 중단 없이 교체할 수 있도록 버전 관리 및 롤백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4.2. 업데이트 스크립트 작성
OTA 업데이트 시 Daemon을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도록 update_engine
을 이용한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system/bin/sh
mount -o remount,rw /
cp /data/local/tmp/my_daemon /system/bin/my_daemon
chmod 755 /system/bin/my_daemon
chown root:root /system/bin/my_daemon
sync
reboot
OTA 적용 후, 새로운 Daemon이 정상 실행되는지 검증합니다.
5. Daemon의 로그 관리 및 문제 해결
5.1. 로그 관리
Daemon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려면 로그 시스템을 활용해야 합니다.
(1) Android 로그 시스템(Logcat) 활용
#include <android/log.h>
#define LOG_TAG "MyDaemon"
#define LOGI(...) __android_log_print(ANDROID_LOG_INFO, LOG_TAG, __VA_ARGS__)
#define LOGE(...) __android_log_print(ANDROID_LOG_ERROR, LOG_TAG, __VA_ARGS__)
int main() {
LOGI("Daemon started");
// 실행 코드
LOGE("An error occurred");
return 0;
}
이제 adb logcat -s MyDaemon
명령어를 실행하면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별도의 로그 파일 관리
#include <fstream>
std::ofstream log_file("/data/local/tmp/daemon.log", std::ios::app);
log_file << "Daemon started" << std::endl;
log_file.close();
5.2. 문제 해결 방법
(1) Daemon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logcat
을 통해 실행 로그를 확인합니다.init.rc
스크립트가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검토합니다.- 실행 권한(
chmod 755
)이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실행 중 크래시 발생 시
logcat
으로 오류 로그를 분석합니다.gdbserver
를 활용하여 디버깅을 수행합니다.strace
를 활용하여 시스템 호출을 추적합니다.
adb shell strace -f -o /data/local/tmp/strace.log /system/bin/my_daemon
6. 결론
Android NDK로 개발한 Daemon을 배포하고 유지보수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Daemon을 시스템 이미지에 포함하여 배포하는 방법, OTA 업데이트 대응 방식, 로그 관리 및 문제 해결 방안을 실습과 함께 설명하였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Daemon 운영이 가능할 것입니다.
'Android > User Daem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전 프로젝트: 간단한 Android Daemon 구현 (0) | 2025.06.25 |
---|---|
Android에서 Daemon의 보안 및 SELinux 정책 (0) | 2025.06.23 |
Android NDK를 활용한 사용자 정의 Daemon 개발 (0) | 2025.06.22 |
Android Daemon의 IPC (Inter-Process Communication) (0) | 2025.06.21 |
Android Daemon과 Java/Kotlin 인터페이스 연결 (0)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