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82

ADB를 활용한 백업 및 복원

ADB를 활용한 백업 및 복원개요Android Debug Bridge(ADB)는 Android 기기와 PC 간의 원격 제어, 파일 전송, 디버깅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ADB를 활용하면 기기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으며, 특정 앱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ADB를 활용한 다양한 백업 및 복원 방법을 설명하고, 예제 명령어를 통해 실습할 수 있도록 안내하겠습니다.1. ADB를 이용한 전체 백업ADB를 사용하면 기기의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adb backup 명령어를 사용합니다.1.1 전체 백업 명령어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기기의 전체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adb backup -apk -shared -all ..

Android/ADB 2025.02.22

C time.h 개요 및 시간 관련 함수

C 언어 표준 라이브러리 time.h 개요 및 시간 관련 함수C 언어에서 시간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표준 라이브러리는 time.h입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시스템 시간을 다루거나 프로그램 실행 시간을 측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time.h에서 제공하는 주요 함수인 time, clock, difftime, mktime을 살펴보고, 각 함수의 사용법과 예제를 설명하겠습니다.1. time.h 개요time.h는 시간 및 날짜 관련 함수를 포함하는 헤더 파일입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현재 시간을 가져오기 (time 함수)프로그램 실행 시간을 측정하기 (clock 함수)두 시간의 차이를 계산하기 (difftime 함수)tm 구조체를 사용하여 시간 변환 (mktime 함수)이제 각 함수의..

CAN 통신의 전기적 특성 및 물리 계층 분석

CAN 통신의 전기적 특성 및 물리 계층 분석1. CAN 통신의 물리 계층 개요Controller Area Network(CAN) 통신은 자동차, 산업 자동화, 로봇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직렬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CAN은 신뢰성이 높고 노이즈 내성이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물리 계층에서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사용합니다.본 포스팅에서는 CAN 통신의 전기적 특성과 물리 계층을 분석하고, CAN_H와 CAN_L의 차이, 차동 신호의 원리, 노이즈 내성, 종단 저항(termination) 및 버스 무결성(bus integrity)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2. CAN_H와 CAN_L의 차이CAN 버스 구성CAN 네트워크는 두 개의 주요 신호선인 CA..

CAN/CAN 기초 2025.02.21

C math.h의 절댓값 및 기타 함수 설명

C math.h의 절댓값 및 기타 함수 설명math.h의 절댓값 및 기타 함수 설명C 언어에서 수학 관련 연산을 수행할 때 표준 라이브러리 math.h를 사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math.h에서 제공하는 절댓값 및 기타 함수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abs - 정수 절댓값 구하기abs 함수는 정수형 값의 절댓값을 반환합니다.함수 원형#include int abs(int x);사용 예제#include #include int main() { int a = -10; int b = 20; printf("abs(%d) = %d\n", a, abs(a)); printf("abs(%d) = %d\n", b, abs(b)); return 0;}출력 결과:abs(-10) = 10abs(2..

ADB를 활용한 네트워크 및 포트 포워딩

ADB를 활용한 네트워크 및 포트 포워딩Android Debug Bridge(ADB)는 Android 기기와 PC 간의 연결을 제공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를 활용하면 네트워크 관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포트 포워딩 기능을 통해 개발 및 디버깅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DB를 활용한 네트워크 및 포트 포워딩 방법을 설명하고, 각 명령어의 동작을 예제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1. ADB를 활용한 포트 포워딩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은 특정 포트를 다른 포트로 매핑하는 기술로, ADB에서는 adb forward와 adb reverse 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1.1 adb forward : PC에서 Android 기기로 포트 포워딩a..

Android/ADB 2025.02.21

nRF52 SDK를 활용한 부트로더 단계에서 펌웨어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

nRF52 SDK를 활용한 부트로더 단계에서 펌웨어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nRF52840과 같은 nRF52 시리즈를 활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펌웨어 무결성 검증은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고, 악성 코드나 손상된 펌웨어가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글에서는 nRF52 SDK를 활용해 부트로더 단계에서 펌웨어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펌웨어 무결성 검증의 필요성펌웨어 무결성 검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중요합니다.보안 강화: 악성 코드가 펌웨어에 주입되는 것을 방지합니다.데이터 보호: 손상된 펌웨어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합니다.시스템 안정성: 무결성을 확인하여 시스템 충돌과 오작동을 예방합니다.펌웨어 무결성을 검증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해시(H..

nRF52 2025.02.20

nRF52 SDK를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 데이터 암호화 방법

nRF52 SDK를 이용한 블루투스 통신 데이터 암호화 방법1. 서론nRF52840과 같은 nRF52 시리즈 MCU는 BLE(Bluetooth Low Energy)를 지원하는 저전력 무선 통신 디바이스입니다.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데이터 보안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블루투스 통신에서 데이터 암호화를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nRF52 SDK를 활용해 BLE 통신 시 데이터를 안전하게 암호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실습 예제 코드와 함께 구현하는 과정을 안내하겠습니다.2. 블루투스 보안 개요블루투스 보안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페어링(Pairing): 두 기기가 신뢰 관계를 수립하는 과정인증(Authentication): 장치 간의 신원을 검증하..

nRF52 2025.02.20

nRF52840 디지털 서명과 인증 - 데이터 서명과 검증 과정 ECDSA

디지털 서명과 인증: 데이터 서명과 검증 과정디지털 서명은 전자 문서나 데이터를 보호하고, 무결성과 인증을 보장하는 중요한 암호화 기술입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과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보안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디지털 서명과 검증은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디지털 서명의 개념과 과정, 그리고 nRF52840과 nRF5 SDK를 활용하여 ECDSA(타원 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로 데이터를 서명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1. 디지털 서명의 개념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은 전자 문서에 대한 무결성과 송신자의 신원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암호화된 데이터입니다. 이는 공개 키 기반의 암호화 기법(PKI)을 사용하여 생성됩니다. ..

nRF52 2025.02.20

nRF52840 True Random Number Generator를 활용한 안전한 난수 생성 및 키 관리

True Random Number Generator를 활용한 안전한 난수 생성 및 키 관리nRF52840과 같은 고급 임베디드 디바이스에서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난수 생성과 키 관리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nRF52840의 True Random Number Generator(TRNG)를 활용한 안전한 난수 생성 방법과, nRF52 SDK를 활용해 플래시 메모리와 RAM을 이용한 안전한 키 저장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1. True Random Number Generator(TRNG)란?TRNG(True Random Number Generator)는 하드웨어 기반의 난수 생성기로, 전자 소자의 열 잡음이나 기타 물리적 현상을 활용해 예측 불가능한 난수를 생성합니다. 소프트웨어 기..

nRF52 2025.02.20

nRF52840 ECC 공개 키 기반 암호화의 원리와 장점

ECC 공개 키 기반 암호화의 원리와 장점1. ECC(타원 곡선 암호)의 개요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는 타원 곡선의 수학적 성질을 이용한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입니다. 비대칭 키 암호화는 하나의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다른 키로 복호화하는 방식으로, 주로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사용합니다. ECC는 기존 RSA와 같은 비대칭 키 방식보다 더 작은 키 크기로 유사한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습니다.타원 곡선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됩니다.$$y^2 = x^3 + ax + b$$여기서 $a$와 $b$는 타원 곡선을 정의하는 상수입니다. 이러한 타원 곡선 위의 점들과 특정 연산을 기반으로 ECC 알고리즘이 동작합니다.2. ECC의 주요 원리ECC의 기본 ..

nRF52 2025.02.20
728x90
반응형